닫기

SKT, 오픈랜 기술 표준화 주도…FILM 기술 문서 발간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ssl1.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029010011891

글자크기

닫기

연찬모 기자

승인 : 2025. 10. 29. 09:39

SKT, 오픈랜 기술 표준화로 네트워크 AI 진화 주도-1
/SK텔레콤
SK텔레콤은 글로벌 오픈랜 표준화 기구 O-RAN 얼라이언스에서 무선망 데이터 수집 고도화 기술 'FILM'에 대한 기술 문서를 새롭게 발간하는 등 표준화 제정을 주도하고 있다고 29일 밝혔다.

O-RAN 얼라이언스는 2018년 2월 설립된 글로벌 오픈랜 표준화 단체다. 삼성전자, 에릭슨, 노키아, 엔비디아 등 전 세계 약 300여개 통신장비 제조사와 연구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SK텔레콤은 회원사로 참여해 활동을 이어오고 있으며, 지난해에는 한국 기업 최초로 표준 회의를 주최한 바 있다.

SK텔레콤은 O-RAN 얼라이언스 홈페이지를 통해 FILM 기술 문서를 발간했다. FILM은 AI가 네트워크 품질을 보다 정밀하게 분석하고 최적화할 수 있도록 필요한 통신 품질 데이터를 선별적으로 수집하는 솔루션이다.

기존에는 망 품질을 분석할 경우 전체 단말의 평균 성능 수치를 기반으로 분석했지만, FILM을 적용하면 신호 세기나 위치 등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단말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수집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품질 분석이 가능하다. 이렇게 확보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AI는 학습과 추론을 수행해 네트워크 품질을 한층 효과적으로 최적화할 수 있다.

또 FILM은 개방형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양한 제조사 장비가 함께 구성된 환경에서도 일관된 형식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AI가 제조사 구분 없이 동일한 형태의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SK텔레콤은 AI 기반 네트워크 품질 향상을 위해 정확하고 규격화된 데이터 수집이 필수적이라 보고, 지난해 2월 O-RAN 얼라이언스에 FILM을 신규 표준화 피처로 제안한 바 있다. 같은 해 8월 FILM이 O-RAN 얼라이언스의 피처로 승인된 이후에는 표준화 책임자로 참여해 13개 글로벌 통신사 및 장비 제조사와 함께 FILM의 활용 사례와 요구사항을 정리한 기술 문서를 완성했다. 이는 국내 통신사가 O-RAN 얼라이언스에서 피처 단위의 표준화 작업을 주도한 첫 사례다.

이밖에도 SK텔레콤은 오픈랜을 이동통신과 AI의 결합인 '네트워크 AI' 실현의 핵심으로 보고, AI를 활용한 네트워크 품질 고도화와 운용 효율화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AI를 활용한 기지국 파라미터 최적화 기술을, MWC25에서는 AI 기지국의 성능 저하 없이 AI 서비스를 제공하는 연산 자원 관리 기술을 공개했으며, 올해 4월 차세대 가상화 기지국의 상용 환경 실증도 성공했다.

류탁기 SK텔레콤 인프라기술본부장은 "앞으로도 글로벌 주요 사업자와 제조사들과의 협력을 확대해 관련 표준화를 선도하고, 미래 네트워크로의 진화를 지속적으로 준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연찬모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