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정우 수석-크라치오스 실장 간 면담도
내년 미국서 한-미 과학기술공동위원회 개최
배경훈 부총리 "양국 간 기술 교류 활성화 기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한-미 기술번영 MOU(Technology Prosperity Deal, TPD)'을 체결한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MOU는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주간에 개최된 한-미 정상회담의 성과로 양국 정부 간 체결한다. 한국 정부대표로는 배경훈 부총리 겸 과기부장관이, 미국에서는 마이클 크라치오스 백악관 과학기술정책실장이 서명한다. 이날 체결식에는 하정우 대통령실 AI미래기획수석도 참석할 예정이다.
최근 AI와 퀀텀, 합성생물학 등 핵심신흥기술의 중요성이 커지며 양국은 핵심기술의 전방위적 협력체계를 강화하고자 이번 MOU를 체결했다는 설명이다. 이를 통해 미래 세대의 번영을 함께 도모하고, 양국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며 한미 동맹을 격상하는 것을 목표로 'AI 응용 및 혁신 가속화'와 '신뢰할 수 있는 기술 리더십' 관련 합의를 담는다.
MOU 발표에 이어 하 수석과 크라치오스 실장은 양자 면담을 통해 이번 MOU의 이행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양국은 이번 논의를 토대로, 한-미 과학기술공동위원회를 MOU 이행의 실질적 추진체계로 활용, 내년 워싱턴 D.C.에서 개최해 구체적이고 발전된 협력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첫 번째 협력 분야인 'AI 응용 및 혁신 가속화'에서 양국은 AI 기술을 활용해 다양한 기술·산업 분야의 발전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혁신 친화적인 AI 정책 프레임워크를 공동으로 개발하고, AI 전 분야에 걸친 AI 기술 수출을 협력하는 등 아시아 및 기타 국가의 역내 공동 AI 생태계를 조성한다. 아울러 신뢰할 수 있는 AI 기술 수출에 협력해 AI 활용에 적합한 데이터셋 개발, 안전한 AI 혁신 촉진 등 분야에서 긴밀하게 협력할 예정이다.
두 번째 협력 분야인 '신뢰할 수 있는 기술 리더십'에서는 양국은 차세대 통신과 제약·바이오기술 공급망, 양자 혁신, 우주 탐사 등 핵심기술 분야의 실행 방안에 대한 협력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핵심신흥기술 분야 연구개발 전반에서 연구 안보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같이하고, 기초연구와 인력교류를 적극 지원해 양국의 과학기술 협력 기반을 강화하고자 한다.
하 수석은 "이번 MOU은 사람 중심의 포용적 AI와 민간 주도의 혁신을 바탕으로 양국이 함께 기술 주권을 키우게 될 것"이라며 "특히 한·미 간 AI 연구개발 및 AI 풀스택 수출 협력 등은 우리나라가 AI 3대 강국으로 크게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배 부총리는 "이번 MOU은 제목 그대로 양국 미래 세대의 번영을 위한 협력의 상징으로, 양국은 과학기술을 통한 자유와 상생의 연대를 더욱 공고히 할 것"이라며 "또한 이번 MOU로 정부 간 기술 번영을 약속하고, 앞서 미국 블랙록, 오픈AI와 체결한 AI 생태계 협력 MOU에 이어 한-미 간 과학기술 교류와 투자가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