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트럼프 관세 앞두고 미국 車 판매 급증…1Q, 전년比 4.8%↑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ssl1.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402010001477

글자크기

닫기

이경은 인턴 기자

승인 : 2025. 04. 02. 17:20

약 391만대…픽업트럭·SUV 등 저렴 모델 많이 팔려
"3일 관세 발효 이후 판매 감소할 가능성 높아"
KakaoTalk_20250402_171349178
2024년형 포드 F-150 트럭이 2024년 4월 11일 미시간주 디어본의 디어본 트럭 공장에서 조립되고 있다./A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발효를 앞두고 미국 1분기 자동차 판매량이 전년보다 5%P(포인트) 가까이 급증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자동차 25% 관세를 예고하자 가격 상승에 대비해 픽업트럭과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SUV) 구매가 급증한 것으로 보인다고 1일(현지시간) 로이터가 전했다.

시장조사기관 워드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1분기 미국 신차 판매량은 작년 동기 대비 4.8% 증가한 약 391만대로 집계됐다.

특히 제너럴 모터스(GM)는 한국에서 생산되는 쉐보레 '트랙스'와 같은 저렴한 크로스오버 SUV 수요 증가로 매출이 전년보다 17% 증가했다.

쉐보레뿐 아니라 현대차, 마쓰다, 혼다 등의 아시아 자동차 제조업체들도 매출이 늘었다.

현대차 북미법인 랜디 파커 최고경영자(CEO)는 "관세를 피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이번 주말에 많이 몰렸다"며 "지금까지 본 주말 중 가장 좋은 주말이었다"고 밝혔다.

해외 자동차 전문 매체 에드먼즈의 분석 책임자 제시카 콜드웰은 1분기 데이터 발표 전부터 "4월 2일에 발효될 자동차 관세의 영향으로 1분기 자동차 구매가 증가했을 수 있다"고 예측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자동차 25% 관세가 오는 3일에 징수되기 시작하면 자동차 판매량은 다시 감소할 것이라고 로이터는 내다봤다.

미국 신차의 평균 가격이 5만 달러(약 7000만원)에 근접한 상황에서 관세로 인해 저렴한 수입 차량 시장이 위축되면 구매력이 크게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시장조사 기업 콕스 오토모티브는 "관세 정책으로 인해 인플레이션이 촉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2025년 신차 판매가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이경은 인턴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