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들 후보들은 이날 채널A 주관으로 열린 2차 경선 '일 대 일 맞수 토론회'에서 이 같은 입장차를 보이며 팽팽히 맞섰다.
안 후보는 김후보에게 부정선거에 대한 입장을 물었다. 그는 "부정선거론에 동조하나"라고 말했다. 이에 김 후보는 "대한민국에 선거관리가 부실하다. 특히 사전투표제도는 많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며 "그렇기 때문에 고쳐야 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민주당이 선거법을 고쳐주지 않는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부정선거 이야기가 나오는 이면에는 이틀간 진행되는 사전투표 제도가 있다"며 "이 과정에서 선거법에 위반되는 부분이 있고, 관리 역시 부실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런 가운데, 선관위 취업비리가 나오지 않고 있나"라며 "국민이 선관위의 이런 부분 때문에 부정선거 의혹이 증폭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안 후보는 "관리부실이 있으면 관리부실에 대해 심문하고 조사하면 된다"며 "관리부실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부정선거가 있었다는 증거가 발견되면 거기서 그 부분부터 뜯어 고쳐 모든 일을 풀어 나가야 한다"고 언급했다.
또 "이런 일이 안생기면 거기에서 명백하게 부정선거라고 말하기 어렵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다만, 김 후보는 한 표라도 부정행위가 적발된다면 시스템에 문제가 있다고 했다.
그는 "몸이 조금만 아프면 의사한테 오지마라, 암걸리기 전에 오지마라 이건 아니지 않나"라며 "한 표라도 이상하면 고쳐야 하지 않나. 그게 의사의 직분 아닌가. 선관위는 한표라도 문제 있으면 풀어야 한다"고 강변했다.
그러면서 "부정선거론에 많은 국민들이 문제제기 하는데, 선관위 공무원들이 답을 해줘야 한다고 본다"며 "음모론이라고 넘기면 문제가 해결되나"라고 덧붙였다.
이에 안 후보는 "이런 문제들을 먼저 고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했다. 그는 "에스토니아라고 핀란드 옆 나라는 인구가 130만명인데 거기서는 블록체인으로 투표해 부정이 없다"며 "어떤 방법으로 바꾸더라도 부정선거 이야기는 없어지지 않을 것이다. 시스템 자체를 정확하게 바꾸자"고 주장했다.
김 후보는 "좋은 시스템도 좋지만 일반 국민 다수가 문제가 있다고 한다"며 "선관위에서 검증하고 고칠 것 고쳐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