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 발생 시 응급복구 및 재난지원 등 대비
농작물 관리요령 및 온열질환 예방수칙 안내
|
14일 농식품부에 따르면 오는 15일부터 10월15일까지 여름철 재해대책상황실을 운영,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지방자치단체·농촌진흥청·농협 등 유관기관과 협조체계를 유지한다.
농식품부는 이날 농업재해대책상황실에서 해당 기관들과 수리시설·원예·축산·방역 등 분야별로 피해 예방 추진상황도 논의했다.
기상청 조사 결과 올해 여름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거나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대기불안정 및 해수면 기온 상승으로 호우 및 태풍 영향 가능성도 높다. 기온은 평년 대비 높고, 폭염·열대야 등 발생빈도 역시 늘어날 전망이다.
앞서 농식품부는 노후 저수지·배수로·산사태 취약지역 등의 시설물 상태와 주민 대피로 운영 여부, 위험요인 제거 상황 등 1차 점검을 지난달 말까지 완료한 바 있다.
해당 점검에서 미흡한 사항은 장마 시작 전까지 조치를 완료하고 개선여부에 대한 추가 점검도 실시할 예정이다.
농식품부는 피해 발생 시 신속한 응급복구 및 재난지원 등 본격적인 대비 태세도 갖출 방침이다.
특히 여름철 농작물 및 농업시설 안전관리요령과 폭염 특보 시 농업인 예방요령을 적극 홍보하고, 단계별 농가 준비사항을 적극 안내한다.
박수진 농식품부 기획조정실장은 "각 시·도 및 유관기관에서는 인명피해예방에 최우선을 두고 비상상황에 선제적으로 주민이 대피할 수 있도록 대응체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본격적인 장마가 오기 전에 여름철 재해대책 추진상황을 다시 한 번 점검하는 등 농업 분야 피해가 최소화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