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예술, 삶에 녹여야” 버스데이, 미디어아트로 경계 허물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ssl1.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703010002291

글자크기

닫기

김민주 기자

승인 : 2025. 07. 04. 08:00

누구나 어디서나 누릴 수 있어야
소외 계층 없이 문화 격차 해소
예술과 기술의 융합을 통해 문화 격차를 줄이고 새로운 일자리 및 수요를 만들어 예술 산업 생태계를 활성화하는 지원 기관이 있다. 2023년 개관 이후 1년 만에 5만7000여명의 예술가·예술기업이 이용하며 융합예술 플랫폼으로 자리 잡은 아트코리아랩이다. 매년 20여개 스타트업과 30여개 기업의 창·제작과 글로벌 진출을 지원해 입주기업 투자유치액이 130배 이상 증가하는 성과를 냈다. 이곳에서 아트테크 스타트업들이 예술의 일상화를 꿈꾸며 미래를 실험하고 있다.
조대동 버스데이 대표가 서울 종로구 아트코리아랩에서 아시아투데이와 인터뷰하고 있다. /사진=김민주 기자
"조깅할 때 음악을 듣는 것처럼 미디어아트가 삶 속에 자연스럽게 녹아 누구나 아무 데서나 누릴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조대동 버스데이(VERSEDAY) 대표는 최근 서울 종로구 아트코리아랩에서 진행한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미술이 특정 시간, 특정 공간에 갇혀 특별한 사람들만 누리면 안 된다. 예술이 삶에 흘러가 누구든 어디서든 항상 향유할 수 있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버스데이는 영화·광고·뉴미디어 분야에서 오랜 시간 경험을 쌓은 크리에이터들이 모여 만든 미디어아트 창작 집단이다. 도예·조각·회화 등 다양한 예술 분야의 창작자들과 협업해 그들의 이야기를 미디어아트로 재해석해 전시하고 있다. 창작자의 IP(지식재산권)를 단발성 전시로 끝내지 않고 미디어아트로 재탄생시켜 지속 가능한 수익 모델을 구축했다. 창작자와 수익을 공유하는 상생 생태계를 만들어가고 있는 셈이다.

이들은 기술 중심의 협업 구조가 아닌 이야기를 중심에 두고 디지털 공공예술을 만들어가고 있다. 전통 회화 작가, 공예가, 과학자 등 다양한 창작자들과 진행한 프로젝트 중 일부는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을 받으며 예술성과 협업 구조 모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조 대표는 코로나19 이후 급변한 영상 시장에서 기회를 포착했다. 영화와 TV 광고 중심이던 시장이 OTT와 디지털 사이니지로 이동하며 미디어아트를 주목했다. 기존 미디어아트 시장이 높은 진입 장벽으로 소수의 특정 CG(컴퓨터 그래픽) 회사나 작가들이 선점해 다양성이 부족한 점을 공략했다. 창작자들이 소외되는 현실을 목격한 조 대표는 "철학이나 이야기를 가진 창작자들이 미디어아트 시장에 진입할 수 있도록 돕고 싶었다"고 말했다.

올해 4월 아트코리아랩에 입주한 이후 버스데이의 활동은 더 확장됐다. 3D 프린터, 모션 캡처 장비 등 고가 장비를 갖춘 스튜디오에서 프로토타이핑할 수 있어 다양한 공간에서 기획-촬영-편집-테스트를 반복하며 프로젝트 완성도를 높였다. 조 대표는 "실패해도 다시 시도할 수 있는 환경과 질문을 던지면 함께 고민해 주는 커뮤니티의 힘이 가장 컸다"고 강조했다.

버스데이는 아트코리아랩의 지원을 바탕으로 올해 동대문디지털플라자(DDP) 전시 등 더 큰 무대를 준비하고 있다. 입주 기간이 끝난 뒤에도 졸업 기업 네트워크를 통해 지속적인 교류와 협력을 이어 나갈 예정이다. 조 대표는 "아트코리아랩은 예술가 출신 창업자들이 겪는 현실적 어려움을 이해하고 사업화와 네트워킹, 글로벌 진출까지 종합 지원하는 유일한 기관"이라면서 "아트코리아랩이 없었다면 불가능했을 글로벌 네트워킹과 유통 지원, 기술 실험 인프라를 제공받아 큰 힘이 됐다"며 아트코리아랩 입주를 강력 추천했다.
김민주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