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국정원-경찰 ‘조용한 만남’… ‘대공수사’ 협력 급물살 타나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ssl1.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728010015614

글자크기

닫기

최민준 기자 | 최인규 기자

승인 : 2025. 07. 27. 17:53

국정원 2차장-경찰청장 대행 회동
요원 파견 등 수사 협력 방안 조율
테러 등 안보 위협 대응 강화될 듯
국정원 전경. /제공=국정원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중단된 국가정보원의 대공수사 인력 파견 재개 소식이 전해진 데 이어 국정원과 경찰 수뇌부가 비공식 회동을 가진 것으로 밝혀졌다. 대공수사권 이관 후 이어진 두 기관의 '냉전'이 종식될지 주목된다.

27일 국정원에 따르면 김호홍 국정원 2차장은 최근 유재성 경찰청장 직무대행과 비공개 오찬을 가졌다.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국정원과 경찰 수뇌부의 첫 만남으로, 김 차장과 유 직무대행 역시 지난달 말 취임한 신임들이다. 회동에선 국정원 요원 파견 등 대공수사 협력 논의가 오갔다. 국정원 소식에 정통한 한 관계자는 "대공수사에 차질이 없도록 경찰과 적극적으로 힘을 모으는 방안을 조율한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대공 핵심' 2차장이 나선 것은 대공 협력 강화에 대한 국정원의 명확한 의지 표명으로 풀이된다. 국정원은 1차장이 해외파트, 2차장이 대북·대공 업무를 담당한다. 2차장은 특히 북한 정보 수집·분석 등 국정원의 대북 분야 실무를 총괄하는 자리다.

이에 발 맞춰 국정원 요원의 경찰청 안보수사국 파견도 조만간 재개될 예정이다. 국정원 요원의 경찰 파견은 정보망 공유 차원에서 대공수사의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지난해 대공수사권 이관 후 국정원과 경찰은 사실상 '냉전'을 벌여왔다. 수사권 이관은 문재인 정부 시절 국정원 개혁 작업으로 추진돼 2021년 확정됐다. 3년 유예를 거쳐 정권 교체 후인 지난해 1월 시행됐지만, 윤석열 정부는 국정원 대공수사권 복원을 추진하며 정반대 행보를 보였다. 수사권 원상복구 가능성이 높아지며 양 기관의 대공수사 연결고리는 느슨해졌다. 민감한 정보 공유를 꺼린 국정원과 확실한 수사권 이관을 원한 경찰의 신경전이 계속됐다. 지난해 12·3 비상계엄의 여파로 같은 달 31일 국정원 요원 4명이 모두 복귀하며, 경찰청 안보수사국 파견마저 중단됐고, 대공 협력은 '유명무실'해졌다.

국정원과 경찰의 대공 협력이 재개되면 관련 수사에도 다시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국정원은 60여년의 대공 수사로 축적한 첩보 수집 능력과 해외 정보망에, 경찰은 현장 수사와 법 집행에 강점을 가진다.

국정원은 기존에도 마약, 해외 조직범죄, 산업스파이 등 다양한 범죄 검거 과정에서 정보 수집과 같은 결정적인 역할을 해왔다. 양 기관 수뇌부가 직접 대공수사 공조 의지를 밝힌 만큼 국내외 연계 간첩 활동이나 사이버 공작, 테러 기도 등 복합적 안보 위협에 대한 대응이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최민준 기자
최인규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