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특검 당원명부 요구, 유례없는 야만적 탄압… 정권 폭주 막을것”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ssl1.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18010007783

글자크기

닫기

박영훈 기자

승인 : 2025. 08. 17. 17:50

인터뷰 김문수 국민의힘 당대표 후보
"내란정당 몰아 해산시도 명백
李, 일당독재 체제 추진하는 것
인권 탄압 조사위 꾸려 알려야"
김건희 특검의 국민의힘 당사 압수수색에 반대해 무기한 농성을 시작한 김문수 당 대표 후보. /송의주 기자
"특검의 500만명 당원명부 요구는 헌정사상 유례없는 정치보복이자 불법 탄압입니다."

국민의힘 당권레이스에 뛰어든 김문수 후보는 지난 14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에서 진행한 인터뷰에서 김건희 여사 의혹을 수사 중인 민중기 특별검사팀의 국민의힘 중앙당사 압수수색 시도를 놓고 이같이 비판했다. 그는 "정권이 야당 해산을 겨냥해 폭주를 벌이고 있다"고 했다.

앞서 김 후보는 지난 13일 밤부터 중앙당사 로비에서 무기한 농성에 돌입했다. 특검이 2023년 전당대회 당시 통일교 측의 특정 후보 지원 의혹을 수사하는 과정에서 500만명에 달하는 전체 당원명부 제출을 요구했기 때문이다. 당원명부에는 선거 전략, 지역 조직, 후원 정보 등 정당 핵심 자료가 포함돼 있다. 김 후보는 "당원명부를 빼내려는 시도는 민주주의 체제 세계 어느 나라에서도 상상할 수 없는 야만적 탄압"이라는 입장이다.

이날 당사 주변은 취재진과 지지자들로 붐볐다. 당원들은 "당을 지켜달라", "끝까지 싸워달라"며 김 후보의 손을 잡았고, 건물 벽면에는 '위헌·위법 압수수색 중단하라', '야당탄압 중단하라'가 적힌 현수막이 걸려 있었다. 일부 지지자는 눈시울을 붉히며 "우리가 뒤에서 지키고 있다"고 외쳤다. 다음은 김문수 후보와의 일문일답.

-이번 중앙당 압수수색 요구를 어떻게 보고 있나.

"특검이 압수수색을 빌미로 500만명의 당원명부 전체를 요구한 것은 불법 탄압이다. 정당의 존립을 직접 위협한 것이다. 이런 특검은 해체돼야 한다."



-정치적 의도가 있다고 보는가.

"명백하다. 이재명 정권은 국민의힘을 내란정당으로 몰아 해산 시도 하고 있다. 국민의힘 의원 45명에 대한 제명 결의안도 그 연장선이다. 일당독재 체제를 노골적으로 추진하는 것이다."



-김건희 여사에 대한 구속 수사는 구체적으로 어떤 문제의식을 갖고 있나.

"대통령이 구속된 상황에서 대통령 부인까지 동시에 구속한 사례는 없다. 과거 부부가 간첩 혐의에 연루돼도 둘 다 구속하지는 않았다. 가정을 유지해야 한다는 기본 관례 때문이다. 면회조차 불가능하게 만드는 것은 가정을 붕괴시키는 인권 침해다."



-이번 사태가 민심에 어떤 변화를 줄 것으로 예상하나.

"국민은 이를 인권 탄압으로 볼 수밖에 없다. 분명히 지지를 얻는 계기가 될 것이다. 당대표가 되면 '인권 탄압 진상조사위원회'를 꾸려 진상을 규명하고 국제사회에 알리겠다."



-대외 활동은 어떻게 구상하고 있나.

"탄압을 받는 피해자들의 목소리를 직접 듣고, 국내 인권단체·법조단체와 연대하겠다. 아울러 미국과 유럽 인권단체에도 알릴 것이다. 국제 여론을 통해 이재명 정권의 인권 유린을 막겠다."



-당대표가 된다면 어떻게 당을 이끌 계획인지.

"원내 107석만으로는 부족하다. 원외 당협위원장과 장외투쟁을 병행해야 한다. 집권여당이 언론을 장악하고 교회·방송사 압수수색까지 벌어지는 상황에서 김문수가 앞장서 싸우겠다."



-당내 계파 갈등 해소 방안은.

"계파 갈등은 부부싸움과 같다. 서로 비판하면 감정의 골만 깊어진다. 당이 쪼개지지 않도록 반드시 단합하겠다. 특히 집권세력과 맞서 싸우기 위해서는 뭉쳐야 한다. 개헌 저지선(100석)이 무너지면 장기집권 개헌도 가능하다."



-2026년 지방선거 전략은.

"청년 중심으로 인재를 영입해 중도세력이 밀집한 수도권과 충청권에서 경쟁력을 높이겠다. 전국 254개 당협과 자치단체 선거 현황을 파악해 대책을 마련하고, 당 인력을 총동원하는 것도 선거 전략 중 하나다."



-보수정당의 모델로 삼는 사례가 있다면.

"미국에 있는 정당들을 가장 이상적으로 보고 있다. 이들은 오픈 프라이머리(완전국민참여경선), 타운홀 미팅 등 다양한 제도로 유권자와 직접 소통한다. 우리도 정당 운영, 교육 시스템에서 배워야 한다."
박영훈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