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시바 총리 등 한일 정부·재계인사 참석
|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와 일본 경제단체연합회(경단련)는 16일 일본 도쿄 경단련회관에서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 기념 포럼'과 '리셉션'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이혁 주일한국대사를 비롯해 양국 정부 및 재계 주요 인사들이 참석했다.
리셉션에는 양국 정부와 경제계 인사들이 참석해 우호적 분위기 속에서 교류를 이어갔다. 우리나라 측에선 류진 한경협 회장을 비롯해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김윤 삼양홀딩스 회장, 조현준 효성그룹 회장, 구자은 LS그룹 회장, 성래은 영원무역그룹 부회장, 신학철 LG화학 부회장 등이 참석했다.
류진 회장은 "지난 60년간 경제인들의 노력으로 양국 관계가 크게 발전했다"며 "앞으로의 60년도 희망적이다. 양국이 마음의 거리도 가장 가까운 이웃사촌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츠츠이 회장도 "국교정상화 60주년을 계기로 양국의 대화와 교류를 한 단계 끌어올리자"고 화답했다.
리셉션에 앞서 열린 포럼은 환경 및 에너지, 저출산 및 고령화, 문화 및 스타트업 등 3가지 세션으로 나뉘어 진행됐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안지영 에너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이 '한일 수소경제 협력 전략'을 발표했다. 그는 "양국 모두 수소를 에너지 전환의 핵심으로 인식하지만 생산 기반이 약하다"며 대규모 수소·암모니아 허브 터미널 공동 구축 등을 제안했다. 일본 측에서는 야마지 켄지 지구환경산업기술연구기구 이사장이 '혁신이 열어가는 에너지·환경의 새로운 시대'를 주제로 발표했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홍석철 서울대 교수는 "한일 기업들이 유사한 인구구조 변화를 겪는 만큼 양국 경제계가 주축이 된 민간 협력체를 구성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는 기업 간 성공 사례 공유, 정책 공동 제안 등을 협력 방안으로 제시했다.
임혜민 크리에이트립 대표는 마지막 '문화·스타트업' 세션에서 "Z세대는 SNS를 통해 K-라이프스타일을 체험하며 쌍방향 문화교류를 만들어가고 있다"며 '한일 컬처-테크 이노베이션 펀드(가칭)' 조성을 제안했다.
한편, 한경협과 경단련은 17일 같은 장소에서 '제32회 한일재계회의'를 열고 향후 경제협력 방향을 논의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