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유지 예산 11억원 절감 효과
|
중앙부처·지방자치단체·공공기관에서 만든 이른바 '공공앱' 8개 중 1개가 사용자의 외면 등으로 '폐기' 권고를 받았다.
행정안전부는 23일 284개 행정기관에서 운영 중인 649개 공공앱을 대상으로 운영 전반에 대한 성과평가를 하고 그 결과를 공개했다. 공공앱 운영 성과평가 제도는 공공앱의 사용률을 높이고, 공공앱 관리 품질을 지속적으로 제고하기 위해 2017년부터 매년 실시하고 있다.
평가대상 기관은 34개 중앙부처(114개), 120개 지자체(284개), 11개 시·도 교육청(21개), 119개 공공기관(230개) 등이다. 평가항목은 누적다운로드 등 사용률, 업데이트 관리품질, 접근성, 민간앱 중복성 등이다. 평가 기준은 유지(70점 이상), 개선권고(60~70점), 폐기권고(60점 미만)이다.
평가 결과 83개 앱(12.8%)이 폐기권고로 평가됐다. 기관별로 각각 중앙부처 2개, 지자체 57개, 공공기관 24개다. 폐기 권고된 공공앱은 2023년의 126개 대비 43개 감소했다.
행안부는 앱 운영 실태를 주기적으로 점검해 각 기관이 폐기 권고된 공공앱을 실제로 폐기 하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평가 결과대로 83개 공공앱이 폐기되면 연간 약 11억 원의 앱 운영·유지보수 예산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용석 행안부 디지털정부혁신실장은 "공공앱 운영 성과평가를 통해 기관의 앱 관리 수준이 향상되고 있다"며 "민간앱과 중복되는 공공앱 개발을 지양해 혁신적인 민간앱 서비스가 더 많이 나올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