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WTO “무역전쟁 영향, 올해 세계 상품 무역, 최대 1.5% 감소”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ssl1.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417010009980

글자크기

닫기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승인 : 2025. 04. 17. 08:32

WTO "올해 세계 상품 무역 성장률 0.2% 감소"
"트럼프 상호관세 발효, 그 파급 효과 등 총 1.5% 감소 예측"
WTO 사무총장 "세계 경제 미중 양분시, GDP 7% 하락"
20250416_192534
세계무역기구(WTO)가 16일(현지시간) 발표한 세계 상품 무역 성장률 추이./WTO 홈페이지 캡처
아시아투데이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 세계무역기구(WTO)는 16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고율 관세로 촉발된 무역전쟁이 격화하면 올해 글로벌 상품 무역이 전년 대비 최대 1.5% 감소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응고지 오콘조-이웰라 WTO 사무총장은 세계 1·2위 경제대국(G2)인 미국과 중국의 디커플링(decoupling·공급망 등 분리)으로 세계 경제가 양분되면 장기적으로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이 7% 떨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WTO는 이날 발표한 보도자료에서 올해 세계 상품 무역 성장률이 0.2%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난해 10월 전망치인 3.0% 증가에서 전망치를 대폭 하향 수정한 수치다. WTO는 이번 주 초까지 시행된 관세 조치를 반영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철강·알루미늄·자동차 등에 25% 품목별 관세를, 캐나다와 멕시코에 25%, 중국에 145%의 관세를 각각 부과했다. 이에 캐나다가 미국산에 25%, 중국이 125%의 관세를 보복 관세를 부과하면서 무역전쟁이 확대하고 있다.

트럼프 상호관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 오후(현지시간)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교역국에 대한 상호 관세를 발표하면서 각국에 대한 관세율이 적힌 차트를 들어 보이고 있다./AP·연합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9일 국가·지역별 상호관세를 90일 유예하고, 협상을 벌이고 있다. WTO는 상호관세가 발효되면 세계 상품 무역 성장률이 0.6%포인트 추가 하락하고, 그 파급 효과로 0.8%포인트가 더 떨어질 수 있다고 예상했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 때인 2020년 이후 최대 폭의 교역 감소다.

지역별로는 전년 대비 수입 9.6%, 수출 12.6% 감소가 예측되는 북미 지역의 무역량이 무역전쟁의 가장 큰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WTO는 내다봤다.

특히 미·중 상품 무역은 81% 감소하고, 스마트폰 등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면제 조치가 없었다면 그 감소율은 91%에 달할 수 있다고 WTO는 예측했다.

아시아는 수출·입 모두 1.6% 증가에 그칠 전망이다. 다만 WTO는 내년에는 2.5%로 완만하게 회복할 것으로 예상했다.

응고지 사무총장은 이날 스위스 제네바의 WTO 본부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미·중 간 디커플링이 지정학적 노선에 따라 세계 경제를 두개의 고립된 블록으로 더 광범위하게 분열시키는 것을 초래할 경우 더 엄청난 영향이 나타날 수 있다"며 "이런 시나리오에서는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이 장기적으로 7% 축소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