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현대제철, AWS와 협력… 디지털전환·데이터센터 윈윈 파트너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ssl1.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703010002179

글자크기

닫기

이지선 기자

승인 : 2025. 07. 03. 16:06

글로벌 AI 데이터센터 협력 길 열어
제조업 현장서 AI 혁신 도모
데이터센터 건설도 협력 추진
수익성 둔화와 산업 패러다임 전환이 겹친 철강업계에서, 현대제철이 AI·클라우드를 기반으로 한 '디지털 제조 혁신'에 시동을 걸었다. 글로벌 클라우드 선도기업 아마존웹서비스(AWS)와의 전략적 협력을 통해 생산 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글로벌 친환경 수요에 부합하는 고부가 강재 시장 공략에 나선다. 최근 업황 부진이 심화되면서 수익성이 저하된 상황에서도 대규모 미국 투자·국내 생산 효율화에 이어 AI 혁신까지 추진하며 생존 전략을 짜고 있다.

3일 현대제철에 따르면 회사는 1일(현지시간) 시애틀 아마존 본사에 있는 더 스피어스(The Spheres)에서 글로벌 클라우드 선도 기업 AWS와 '전략적 프레임워크 협약(SFA)'을 체결했다. 양사는 장기적 관점에서 사업 협력을 도모한다는 계획으로, 현대제철은 디지털 전환 가속화를 위한 AWS 클라우드 인프라를 도입하고, AWS는 데이터센터 건설에 현대제철 탄소저감 철강재 적용을 검토할 예정이다.

이번 협약은 단순한 시스템 고도화를 넘어, 현대제철이 추구하는 '데이터 기반 고부가 강재 생산체계'의 전환점으로도 볼 수 있다. AI와 클라우드 인프라를 기반으로 공정 최적화, 에너지 효율 개선, 품질 예측 등 실시간 통합 운영 환경을 구축함으로써, 생산 효율성을 크게 높일 수 있어서다.

이와 함께 AWS의 아시아·태평양 지역 진출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란 관측이다. 최근 AWS는 글로벌 데이터 센터 건설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이미 국내에 처음으로 지은 인천 데이터센터에는 현대제철의 저탄소제품 인증 H형강이 공급됐다.

현재 AWS는 SK그룹과도 협력을 맺고 울산에 대규모 AI데이터센터를 짓고 있다. 이처럼 제조업 기반 기업의 디지털 전환 움직임이 주요 산업군 전반으로 확산되는 분위기에서 정부 또한 한국 경제 기반인 제조업 AI 혁신을 적극 지원하고 있는 만큼 협력 기회는 더 커질 것이란 전망이다.

김승회 현대제철 DX추진실장(상무)는 "이번 협약은 양사의 시너지를 극대화하는 중요한 출발점으로, 특히 현대제철이 탄소저감 강재 글로벌 시장을 개척하고 디지털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그 의미가 있다"며, "AWS와의 협력을 통해 철강 산업의 새로운 비전을 제시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현대제철은 미국 철강 관세에 대응해 8조원 규모의 전기로 제철소 건설을 발표한 바 있다. 세계로 생산 기반을 확장하는 만큼 AI 클라우드 인프라를 토대로 공장 운영 체계의 효율성을 높이고 공급 안정성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다. 동시에 국내 사업장 구조조정 및 생산 합리화 흐름과도 연계돼, 원가 절감 등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란 기대도 나온다.
이지선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