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 IB 韓성장률 전망치 상향…추경 효과 톡톡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ssl1.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704010002795

글자크기

닫기

이세미 기자

승인 : 2025. 07. 04. 15:47

평균 0.8→0.9%…1년4개월 만에 상향
추경 등 재정확장·미국 관세 완화 효과
서울 아파트값↑…“한은 금리인하 늦춰”
5월 경상수지 101.4억달러…수입감소 등에 25개...<YONHAP NO-3283>
연합
글로벌 주요 투자은행(IB)들이 올해 우리나라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1%에 가깝게 상향 조정했다. 새 정부 출범에 따른 정책 안정성 효과 등의 이유에서다.

4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IB 8곳이 제시한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5월 말 평균 0.8%에서 6월 말 0.9%로 0.1%포인트(p) 높아졌다.

바클리스가 1.0%에서 1.1%로, 뱅크오브아메리카메릴린치(BoAf)가 0.8%에서 1.0%로, UBS가 1.0%에서 1.2%로 조정한 영향이 컸다. 골드만삭스는 1.1%, 노무라는 1.0%, HSBC는 0.7%, 씨티는 0.6%, JP모건은 0.5%의 기존값을 유지했다. 이밖에 IB들도 전망치를 상향 조정하면서, 올해 한국 경제 성장에 대한 글로벌 컨센서스는 1.0% 수준까지 올라온 것으로 알려졌다.

국제금융센터 집계에서 2025년 성장률 평균 전망치가 높아진 것은 지난해 2월(2.1→2.2%) 이후 1년 4개월 만에 처음이다.

그동안 우리나라 성장률 전망치는 내수 부진 장기화, 탄핵 정국, 미국 트럼프 2기 정부의 관세 정책을 포함한 대내외 악재로 줄곧 유지 또는 하향 조정됐다. 그러나 새 정부 출범 이후 경제 정책 확장 효과와 미국의 관세 완화 등이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2차례에 이른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도 주요하게 작용했다. 정부는 지난 5월부터 집행을 시작한 12조2000억원 규모의 1차(필수) 추경에 이어 지난달에는 30조5000억원 규모의 2차 추경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지난 1일 외신 인터뷰에서 "추경이 올해 성장률을 약 0.2%p 올리는 효과가 있다"고 말한 바 있다. 앞서 골드만삭스는 지난 5월 우리나라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0.7%에서 1.1%로 상향조정하면서, 1·2차 추경이 경제 성장률을 약 0.3%포인트 끌어올릴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IB들은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세가 지속될 경우 한은이 기준금리 인하 속도를 예상보다 늦출 수 있다고 관측했다. 이는 우리나라 성장에 부담을 주는 변수다.

한은도 최근 국정기획위원회 업무보고에서 "가계대출이 8∼9월 중 급증할 가능성이 있다"며 "과도한 금리인하 기대가 주택가격 상승 심리를 자극하지 않도록 추가 인하 시기와 속도를 신중하게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3일 취임 30일 기념 기자회견에서 추경안 편성과 관련해 "기대효과는 일반적 예상보다 훨씬 높을 것"이라며"일단은 추가 계획은 없다"고 말했다.
이세미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