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대통령은 10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수석보좌관회의에서 RE100 산단에 대한 보고를 받고 "RE100 산단에 특별법이 마련될 경우 교육·정주 여건을 더욱더 파격적인 방안으로 검토를 하라"며 이같이 말했다고 김용범 정책실장이 브리핑에서 밝혔다.
특히 김 실장은 "이 대통령이 강조한 포인트가 있는데 '원칙적으로 규제를 제로로 해달라'는 것"이라며 "두 번째는 '교육·정주 요건의 파격적 방안을 검토하라'는 것이고, 셋째로는 전기요금을 거리별로 차등 방안을 고민하는데 간접비용을 포함해 RE100 산단 입주 기업에 당초 검토한 할인 혜택을 1차로 보고했지만, 그보다 파격적인 정주 할인을 검토해 달라고 당부했다"고 했다.
김 실장은 "RE100 산단 추진을 최우선 정책과제로 삼은 것은 에너지 대전환과 지역균형발전이라는 대통령의 핵심 국정철학과 맞닿아 있기 때문"이라면서 "생산된 재생에너지를 수도권으로 옮기려면 송전망의 대대적인 확충이 필요한데, 비용과 시간이 많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RE100 산단을 통해 대한민국 산업지도를 새롭게 디자인하고, 재생에너지가 풍부한 지역에 첨단기업을 유치하고 충분히 활용할 수 있게 하자는 콘셉트"라면서 "RE100 산단은 에너지 신도시로 확장돼 지역경제 활성화의 주춧돌이 될 것"이라고 했다.
RE100 산단의 부처별 추진 계획과 관련해 "산업통상자원부가 중심이 돼 기획재정부와 국토교통부 등 관계 부처와 전문가들로 태스크포스(TF)를 만들어 오늘 보고한 추진 방안을 구체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 실장은 "RE100 산단 기본특별법을 만들고, 입주 기업은 RE100을 100% 충족하도록 할 것"이라면서 "후보지는 재생에너지 발전원이 집중적으로 밀집돼야 하는 만큼 서남권과 울산 등 해상풍력,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가 많이 발전되고 있는 곳이 유리한 지역이 될 것"이라고 했다.
또 "인공지능(AI) 시대에 전력이 훨씬 중요해졌기 때문에 저렴한 가격으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보장돼야 한다"면서 "지역에 ESS(에너지저장장치)를 대규모로 확대해 간헐성을 해결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