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한강버스 사고, 국감 은폐 의혹에 서울시 “은폐 불가”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ssl1.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103010000807

글자크기

닫기

박지숙 기자

승인 : 2025. 11. 03. 13:09

서울시 "은폐 의혹 부인"…자료 누락은 "업무 실수"
5월 16일 오후 5시 10분경 충돌사고
한강버스 탑승 관련 스케치
지난 9월 26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선착장으로 마곡에서 출발한 한강버스가 승객을 태우기 위해 들어오고 있는 모습. /정재훈 기자
한강버스 102호가 지난 5월 시운전 중 선착장 시설물과 충돌해 선체 하부가 손상되는 사고를 당한 것으로 확인됐다. 더불어민주당은 서울시의 '은폐' 의혹을 제기했고, 이에 서울시는 은폐 의혹을 부인하면서도 국정감사 자료 제출 과정에서 사고 내역을 누락한 점은 업무 실수였다고 해명했다.

3일 시 미래한강본부에 따르면 지난 5월 16일 오후 5시 10분경 잠실 선착장 출항 후 102호가 한강 하저에 설치된 가스관 시멘트공 보호시설과 선박 스케그(프로펠러 보호장치)가 접촉하면서 약 30cm가량 손상이 발생했다.

시는 "선박 운항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단순 보호용 알루미늄 구조물"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8월 25일 선박안전법에 따른 공인 대행검사기관에 보고 후 수리·검사를 완료했고 현재 안전하게 운항 중이라고 밝혔다.

논란의 중심은 국정감사 자료 제출 과정이다. 지난 10월 20일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더불어민주당 이병진 의원이 한강버스의 시범운항 기간 고장·사고 이력을 요구했을 때, 서울시는 해당 사고를 누락한 채 자료를 제출했다.

이에 시는 "당일 오후 긴급히 ㈜한강버스로부터 자료를 공유받아 제출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누락 사항"이라고 해명했다. 이어 "한강버스 사업 관련 국회의원 요구자료가 약 700건 이상 접수되는 등 과다한 업무를 긴급히 처리하는 과정에서 미처 확인하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시는 은폐 의혹도 강하게 부인했다. 시는 "사고 사실이 선박안전법에 따라 공인 대행검사기관에 기 보고된 바, 원천적으로 은폐가 불가능한 사항"이라며 "고의적으로 이를 은폐하거나 숨긴 사실이 없으며 단순 누락·업무 실수로 인한 사항"이라고 밝혔다.

한편, 지난 1일 운항을 재개한 한강버스는 주말 이틀간 6138명이 탑승했다. 이틀간 마곡행 3014명, 잠실행 3124명으로 양방향 탑승객은 비슷한 수준으로 집계됐다.
박지숙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