킬러문항 배제 기조 이어지나…변별력 확보 방식 주목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13일 오전 전국 85개 시험지구, 1310개 시험장에서 일제히 시작됐다. 수험생들은 오전 8시10분까지 입실해야 하며, 일반수험생 기준 시험은 오전 8시40분부터 오후 5시45분까지 진행된다.
이번 수능은 지난해와 동일하게 1교시 국어, 2교시 수학, 3교시 영어, 4교시 한국사·탐구, 5교시 제2외국어/한문 순으로 치러진다.
2022학년도부터 시행된 문·이과 통합형 체제도 그대로 유지된다.
국어영역은 공통과목(독서·문학)에 더해 '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 중 한 과목을 선택해야 한다. 수학영역 역시 공통(수학Ⅰ·Ⅱ)과 선택(확률과 통계·미적분·기하) 중 1개 선택 구조다.
한국사 영역은 올해도 필수로 지정돼 미응시 시 성적통지표가 발급되지 않는다. 사회·과학탐구는 계열 구분 없이 17개 과목 중 최대 2개, 직업탐구는 6개 중 최대 2개를 선택할 수 있다. 직업탐구에서 2개 과목을 선택할 경우 전문 공통과목 '성공적인 직업생활' 응시가 필수다. 제2외국어/한문은 9개 과목 중 1개를 선택하면 된다. 영어·한국사·제2외국어/한문은 절대평가로만 등급이 부여된다.
다만 주요대 자연계열이 사회탐구를 수능 최저로 인정하는 흐름이 이어지면서 이공계 수험생이 과학탐구 대신 사회탐구를 선택하는 '사탐런' 현상이 더 강해질 가능성이 변수로 지목된다.
![]() |
| 자료=한국교육과정평가원 / 그래픽 = 박종규 기자 |
반면 졸업생(N수생)은 15만9922명으로 전년보다 1862명 감소했다. 다만 의대 모집인원이 올해 다시 증원 전 규모인 3016명으로 축소되면서, 최상위권 경쟁은 오히려 더 치열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입시업계는 "상위권 경쟁 심화로 까다로운 문항이 일부 출제될 가능성도 있다"고 내다보고 있다. 수능 성적통지표는 다음 달 5일 수험생에게 전달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