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일 대한주택건설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주택건설업 신규 등록 업체는 421곳에 불과했다. 3년 연속 감소한 수치이자, 지난 2009년(363곳) 이후 15년 만에 기록된 가장 낮은 수준이다.
주택건설업 신규 등록 업체는 부동산 시장 활황기였던 지난 2021년 2191곳에 달한 바 있다. 하지만 전세계적인 인플레이션 현상에 고금리 기조 장기화가 시작된 2022년 1086곳으로 반 토막 난 후 지난 2023년에는 429곳으로 급감했다.
업계는 건설사 일감이 부족해진 것을 신규 등록 업체 급감의 주된 원인으로 보고 있다. 그간 아파트 등 민간 주택 사업이 건설사의 주요 먹거리로 자리매김했지만, 부동산 경기 위축으로 일감이 크게 줄고 있어서다. 지난해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 각종 정부 기관에서 발주한 공공공사로 경기 불황을 견뎌냈지만, 건설사 간 경쟁이 집중되다보니 이마저 여의치 않은 상황이다.
박철한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지난해 주택 신규사업 물량이 2023년보다는 늘어나며 신규등록 업체 급감 흐름도 다소 멈춰섰다"면서도 "고금리 부담이 완화되고 있긴 하지만, 올해 공사 물량이 줄어드는 등 위축된 탓에 저점을 지나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렇다 보니 업계에는 '저성장 공포'가 커지고 있다. 업계에 새로 발을 들이는 곳은 줄고 있는 반면, 지난해 사업을 영위할 수 없어 주택건설업 등록을 자진 반납한 업체는 역대 최고 수준으로 뛰어 오른 것이다. 주택건설사업 등을 포기한 건설사는 지난해 796곳으로 2023년(843곳)보다는 다소 줄었지만 여전히 적지 않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실제로 10년 장기 평균(606곳)보다 200곳 가까이 건설업 등록을 반납합 업체 수가 많다. 요건에 부합하지 못해 주택건설업 등록이 말소된 업체 또한 192곳에 달했다.
주택뿐 아니라 전반적인 건설 경기 침체로, 종합건설업 역시 신규등록이 줄고 폐업은 늘고 있다.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종합건설업 신규등록 업체는 434곳이다. 전년(1307곳) 대비 67% 급감했다. 폐업 업체도 516곳으로 같은 기간 23% 증가했다.
지난해 부도 처리된 건설업체도 모두 29곳으로 2019년(49곳) 이후 5년 만에 가장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