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도체법에 따라 미국 현지에 투자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우리 기업도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거론된다. 앞서 삼성전자는 미국 정부로부터 최대 47억 달러(약 6조8500억원), SK하이닉스는 4억5800만 달러(약 6600억원)의 보조금을 받기로 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2명의 소식통은 미국 정부가 반도체법 보조금 재협상을 추진하고 있고, 변경 범위 등은 아직 명확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진다.
반도체법은 미국 현지에 반도체 공장을 짓는 기업에 직접 보조금 390억 달러와 연구개발(R&D) 보조금 132억 달러 등 5년간 총 527억 달러를 지원한다는 내용이 골자다.
대만 실리콘 웨이퍼 제조업체인 글로벌웨이퍼스는 로이터에 보낸 성명에서 "반도체법 프로그램 당국은 우리에게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 및 정책들과 일치하지 않는 특정 조건들이 현재 재검토 대상이라고 말했다"고 밝혔다.
글로벌웨이퍼스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와 함께 현지 공장 설립을 계획해 최고 4억600만달러(약 6600억원)를 지급받기로 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재협상에 나서는 이유는 일부 기업이 보조금을 받은 뒤 중국 등 투자를 확대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로이터 소식통 중 한 명은 백악관이 반도체법 보조금을 받은 뒤 중국 등 다른 국가진출 계획을 발표한 기업들에 대해서 불만을 표시하고 있다고 전했다.
로이터는 보조금 수혜 기업 중 중국에 투자한 기업으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인텔, TSMC를 지목됐다.
삼성전자는 미 텍사스주 테일러에 총 370억 달러(약 53조4000억원) 이상 투입되는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공장을 건설 중이다.
SK하이닉스는 인디애나주에 인공지능(AI) 메모리용 어드밴스드 패키징 생산 기지를 건설하기로 했다.
한편 미 반도체산업협회는 회원사들을 상대로 의견 수렴에 나섰다.
데이비드 아이작스 반도체산업협회 부사장은 "제조 인센티브와 연구 프로그램이 중단되지 않고 진행되는 것이 중요하다"며 "우리는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 지명자 등 트럼프 행정부 구성원들과 협력해 (반도체법) 프로그램 요건을 간소화하고 반도체 기술 분야에서 미국의 리더십을 강화한다는 공동의 목표를 달성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