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급망 교란 미 경제에도 큰 타격
|
상호관세는 미국 기업이 특정 국가에 상품을 수출할 때 부과되는 관세와 동일한 수준의 관세를 그 나라 수입품에도 적용하겠다는 것이다. 미국의 무역 상대국들이 상대적으로 높은 관세를 유지하고 있는 데 대한 보상 논리다.
그러나 실제 150개가 넘는 국가에서 수입되는 수천 개의 품목에 대한 개별 관세율을 산정하는 과정이 기업들에게 막대한 부담을 줄 수 있다고 NYT는 평가했다. 미국 제조업체들은 수많은 수입 부품에 의존하고 있는데, 개별 관세를 일일이 조정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엄청난 행정적·실무적 난제가 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는 또 미국 소비자들에게 추가 비용 부담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럴 경우 인플레이션을 자극해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 결정이 지연될 가능성도 커졌다.
아울러 이번 조치는 다자간 협정 중심인 현재의 글로벌 무역 체제를 국가 간 양자 협상 중심으로 변경해 각국의 자국 우선주의를 더욱 부추길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런 변화는 또 글로벌 공급망에 충격을 줄 가능성이 크다. 글로벌 기업들은 세계 최대 경제 대국인 미국과 중국 간 무역 전쟁의 여파를 겪어왔으며, 최근에는 수에즈 운하와 파나마 운하 통행에 차질이 빚어지면서 해운료도 급등했다.
미국 내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기업들은 부품이나 완제품을 수입하는 비용을 고려하며 향후 전개될 상황을 예측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런 불확실성이 의도적인 전략일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를 통해 글로벌 기업들이 미국에 공장을 설립하도록 압박하고 있다는 것이다.
문제는 미국 내 공장을 운영하는 기업들도 글로벌 공급망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수입 비용이 증가하면 미국 기업들의 경쟁력이 저하되고, 이는 결국 미국 내 일자리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부메랑이 될 수 있다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