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트럼프 행정부 초반, 불법 월경 급감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ssl1.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219010009848

글자크기

닫기

김도연 기자

승인 : 2025. 02. 19. 09:57

1월 체포된 불법 이민자 수 전달 대비 38% 감소
백악관, 불법 이민자 원천 차단 '트럼프 효과' 강조
Immigration Border
지난 1월23일(현지시간)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멕시코와 미국을 가르는 국경 장벽 사이의 틈을 통해 불법 월경한 남성 4명 중 한 명이 미국 국경순찰대원의 몸수색을 받고 있다. /A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불법 월경이 급감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 국경순찰대가 최근 공개한 정부 자료에 따르면 1월 체포된 불법 이민자 수는 약 2만9000명으로, 지난해 12월 약 4만 7000명 대비 약 38% 감소했다.

국경순찰대 관계자들은 이런 감소세에 대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새로운 정책이 영향을 미친 결과"라고 평가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직후 불법 이주민들의 남부 국경 출입을 원천 차단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모두 시행하라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백악관은 지난 13일 발표한 성명에서 "이것이야말로 '트럼프 효과'"라며 새 정부의 성과를 강조했다. 아울러 지난 1월20일 트럼프 취임 직후 미 당국의 이민 사전인터뷰 예약 애플리케이션 '시비피 원(CBP One)' 가동을 중단한 것이 월경 감소에 기여했다고 밝혔다. 시비피 원 중단으로 수만 명의 이민자들이 현재 멕시코에 발이 묶인 상태다.

시비피 원은 미국 이민 법원을 통한 이민·망명 인터뷰를 예약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지난 2023년 초 출시 이후 지난해 연말까지 총 90만 명 이상의 이민자가 이 앱을 이용해 미국에 입국한 것으로 집계됐다.

미 국토안보부는 베네수엘라, 엘살바도르, 미얀마, 우크라이나 등 17개국을 대상으로 하는 임시보호지위(TPS) 연장도 철회했다. TPS는 자연재해나 전쟁 등이 일어난 나라에서 피난해 온 경우 본국 송환이 위험하다고 판단될 때 일시적으로 체류 및 취업을 인정하는 제도다.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도 불법 입국한 이민자들의 망명 신청을 제한했다. 하지만 강제 송환 시 박해나 고문을 당할 가능성이 높은 경우 보호 조치하는 예외 조항을 유지했다. 이로 인해 일부 이민자들은 인도적 보호를 받으며 미국 내에 머물 수 있었다.

바이든 행정부 시절, 불법 월경은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며 한 달에 최대 25만 명이 국경을 넘기도 했다. WSJ은 그러나 1년 전부터 불법 월경이 감소세로 돌아섰다며, 이는 바이든 행정부가 멕시코 정부를 설득해 불법 이민자 단속을 대폭 강화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고 전했다.

전문가들은 정권 교체 초기 일시적으로 이민 흐름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고 분석한다. 미국 이민정책위원회의 다라 린드 선임연구원은 "새 행정부의 정책이 어떻게 시행되는지 지켜보려는 분위기"라며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 정책이 자리 잡고, 국경을 넘은 사람들이 성공 여부를 전하면서 밀입국 경로가 새롭게 개척되면 불법 월경이 다시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계절적 요인도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 매년 겨울철에는 추운 날씨로 인해 불법 이민 시도가 줄어들었다고 WSJ은 전했다.

김도연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