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中企 2곳 중 1곳 “중국 이커머스 활용·향후 활용 예정”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ssl1.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402010000917

글자크기

닫기

오세은 기자

승인 : 2025. 04. 02. 12:00

중기중앙회, '중국 이커머스 국내 진출 확대에 대한 중소기업·소상공인 의견 조사 결과' 발표
1
중소기업 2곳 중 1곳은 중국 이커머스 활용 또는 향후 활용할 예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는 2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중국 이커머스 국내 진출 확대에 대한 중소기업·소상공인 의견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3월 17일부터 21일까지 중소기업(제조업·유통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했다.

조사 결과 중국 이커머스를 '활용 중인 기업'은 29.7%, '활용 경험은 없으나 추후 활용 의사를 밝힌 기업'은 21.0%로 나타났으며 '활용 경험·향후 활용 계획도 없다'는 49.3%로 조사됐다. 중국 이커머스 활용 방식에 대해서는 '중국 이커머스에 입점해 국내 시장 점유율 확대(65.2%)' '중국 이커머스에서 제품 구매 후 국내 재판매(병행수입 11.2%)' '중국 이커머스를 통해 원자재 또는 부품 조달(6.7%)' 등의 순이었다.

중국 이커머스의 국내 진출이 미친 영향에 대해서는 '긍정적'이라는 응답이 24.7%로 '부정적(15.3%)'보다 높았으며 '변화없다'는 60.0%로 나타났다. 긍정적 영향을 미친 이유로는 '국내외 온라인 판매 채널 다변화(47.3%)'가 가장 많았으며 '기존 유통망 대비 입점 수수료 절감(16.2%)' '비용 절감(원자재 조달·물류 배송비 등 14.9%)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부정적 영향을 미친 이유는 '자사 제품 가격 경쟁력 저하로 소비자 이탈(45.7%)' '국내 기업의 브랜드 가치 하락(19.6%)' '무관세·무인증 등 역차별 피해(17.4%)' '마케팅 비용 증가(8.7%)' 등의 순이었다. 중국 이커머스의 국내 진출 확대에 대한 대응 전략은 '특별한 대응 전략 없다(63.7%)' '국내 이커머스 플랫폼 활용 확대(10.3%)' '차별화된 제품 개발(프리미엄 전략 등 9.0%)' '가격인하(8.7%)' 등으로 조사됐다.

중국 이커머스 국내 진출에 대한 향후 전망에 대해서는 '긍정적' 응답은 28.3%로 '부정적'(26.0%)보다 높았으며 '변화없다'는 45.7%로 나타났다. 중국 이커머스의 국내 진출에 대한 최우선 지원 정책으로는 '중국 이커머스 입점 업체 대상 인증·검사 강화(34.7%)' '국내 이커머스 입점 기업 지원(수수료 인하 등 32.3%)' '해외 직구 제품의 통관·품질 검사 강화(26.3%)' '특허·상표권 등 지식재산권 침해 제재 강화(23.0%)' '물류 경쟁력 강화(물류비 지원 등 21.7%)' 순으로 조사됐다.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이번 조사 결과로 중국 이커머스가 중소기업에 새로운 위기이면서 기회가 되고 있다"며 "중국 이커머스의 국내 영향력이 점차 확대될 가능성을 고려할 때 중소기업 피해 최소화를 위해 품질 인증과 검사, 지적재산권 보호를 선제적으로 강화하고 중소기업의 이커머스 입점 지원과 물류비 지원 등 정책적 지원도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오세은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