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표류주민 동해 송환에 北경비정 마중…“남북 제한적 소통 신호”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ssl1.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709010005183

글자크기

닫기

지환혁 기자

승인 : 2025. 07. 09. 11:07

3월 서해상 2명, 5월 동해상 4명 북한 주민 목선타고 표류
李 정부, 北 응답 없어도 주민 해상 송환
clip20250709110132
북한 주민을 태운 목선이 자력으로 북방한계선(NLL)을 넘어 북상하고 있다. /통일부
지난 3월 서해상에서 2명, 5월 동해상에서 4명 등 북방한계선(NLL)을 넘어 표류해온 북한 주민 6명이 9일 동해상으로 송환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송환 시점에 북한 경비정이 인계 지점에 나와 있었으며 북한 선박은 자력으로 귀환했다"고 말했다. 북한 주민들을 태운 목선은 오전 8시 56분께 NLL을 넘었고, 오전 9시 24분께 예인용으로 추정되는 북측 대형 어선 1척 및 경비정 1척과 만나 북한으로 돌아갔다.

이들은 정부 당국의 조사 초기부터 북한 귀환 의사를 강력히 밝혀왔던 것으로 파악됐다. 통일부 당국자는 "한국 정부, 유엔군사령부 군사정전위원회, 유엔사 중립국감독위원회가 각각 개별 면담을 통해 귀환 의사를 확인했다"고 했다.

정부는 그간 주민들을 북한으로 돌려보내겠다는 의사를 유엔군사령부를 통해 북한에 전달하거나 언론 발표 등을 통해 밝혔지만, 북한으로부터 아무런 응답이 없었다. 이에 지난주와 이번 주 1차례씩 유엔군사령부와 북한군 사이의 핫라인인 이른바 '핑크폰'을 통해 일시와 해상 좌표 등 송환 계획을 고지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북한이 확정적인 답을 하진 않았지만, 유엔군사령부로부터 전달된 메시지를 접수한 것은 맞다"고 했다. 이 당국자는 동해상을 송환 장소로 정한 것은 북한의 뚜렷한 응답이 없는 상황에서 육로 송환을 하면 불필요한 긴장을 촉발할 수 있다는 점이 고려됐다고 설명했다.

이번 북한 주민의 송환에 북한 경비정이 출동했다는 점은 이재명 정부의 인도주의적 유화책이 북한의 제한적 협력을 견인하고 남북 간 소통의 잠재적 돌파구를 열었다는 관측이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북한의 적대적 두 국가론 속에서 북한이 경비정과 배를 동원해 신병 인계를 수용한 점은 남북 간 제한적 소통의 신호로 해석해도 무방하다"면서 "이전 송환 거부 입장과 달리 경비정과 배를 동원해 대기한 점은 이례적이며, 이재명 정부의 유화책(확성기 중단, 전단 자제)에 대한 제한적 신뢰를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지환혁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