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일 기업분석업체 리더스인덱스 조사에 따르면 국민연금이 5% 이상 지분을 보유한 상장사는 이달 기준 262곳으로, 올해 1월(259곳)보다 3곳 늘었다.
평균 지분율도 7.3%에서 7.5%로 소폭 상승했으며, 지분가치는 129조1610억원에서 210조8512억원으로 81조6903억원(63.2%) 증가했다.
국민연금이 지분을 늘린 종목은 162곳, 줄인 종목은 76곳으로, 지분 확대 기업 수가 축소 기업 수의 두 배를 넘었다.
지분가치가 집중된 곳은 상위 10개 대형 상장사로 전체의 47.1%였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두 종목 비중만 30.9%로 집계됐다. 삼성전자는 지분율이 7.3%에서 7.6%로 올라갔고 지분가치는 23조원에서 42조5000억원으로 84.6% 늘었다. SK하이닉스는 지분율이 7.6%에서 7.3%로 소폭 줄었지만, 지분가치는 9조5000억원에서 22조6000억원으로 136% 급등했다.
이어 LG에너지솔루션(5조9734억원, 15.5%↑), 삼성바이오로직스(5조8527억원, 25.2%↑), 두산에너빌리티(4조1887억원, 407.6%↑) 등이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지분율 증가 종목은 IT·전기전자(9곳), 조선·기계·설비(5곳), 서비스(3곳) 업종에 집중됐다.
제약·이차전지 업종은 투자 비중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셀트리온은 지분율이 6.8%에서 6.6%로, 지분가치가 2조6264억원으로 5% 감소했고, 삼성SDI는 지분율이 7.4%에서 6.8%로, 지분가치가 1조2135억원으로 3.8% 줄었다.
업종별 평균 지분율도 변화를 보였다. 연초 증권(9.4%)·식음료(9.1%)·유통(8.8%)·조선·기계·설비(8.4%) 순이었던 지분율은 현재 유통(9.8%)·증권(9.1%)·식음료(8.7%)·조선·기계·설비(8.7%) 순으로 재편됐다.
리더스인덱스는 "코스피 상승세에 힘입어 국민연금이 보유한 상장사 지분가치가 크게 증가했다"며 "올해 국민연금은 IT와 조선 업종 비중을 확대하고 제약·이차전지 업종 비중은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