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대통령의 방일은 다카이치 내각 출범 이후 첫 대면 정상회담으로, 북핵 대응을 매개로 한 한일 간 공조 재정비의 출발점으로 주목된다. 일본 정부는 트럼프 대통령 방일을 앞둔 지난 25일 밤 전화 통화 형식의 첫 미·일 정상 교신을 공개하며 "한미일 안보 협력 강화를 위한 기초 논의가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다카이치 총리는 통화에서 "일본은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미국에 불가결한 파트너이며, 미·일 동맹 강화를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다"며 "자유롭고 열린 인도·태평양(FOIP) 실현을 위해 함께 나아가겠다"고 밝혔다. 이어 "납치 문제(북한의 일본인 납치)의 조속한 해결을 위한 미국의 지속적 이해와 협력을 요청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에 "직접 만나기를 기대한다"며 방일 의사를 재확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미일 양국은 회담에서 최근 잇따른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를 '지역안보를 위협하는 중대한 행위'로 규정하고 대응 공조 방안을 구체적으로 논의할 전망이다. 일본은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 억제뿐 아니라, 자국민 납치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 압박 강화를 트럼프 행정부에 요청할 것으로 보인다.
다카이치 총리는 지난주 아세안 관련 회의 참석 후 기자회견에서 "납치 문제는 일본의 주권과 국민 생명에 직결된 사안으로, 국제사회의 더 큰 지지를 이끌어낼 때가 됐다"고 강조했다. 미북 대화가 장기 교착 상태에 빠진 상황에서 일본은 과거 아베·기시다 정부가 추진했던 '평양과의 직접 협의'보다 미일 공조를 통한 압박 외교에 방점을 둘 가능성이 높다.
트럼프 행정부 역시 북한의 군사 도발을 아시아 내 미동맹 결속 강화의 명분으로 활용하고 있다. 워싱턴은 최근 공개한 대북 전략 보고서에서 "동북아의 평화는 한국·일본과의 동맹 체제 재정비를 통해 유지돼야 한다"고 명시했다. 일본 정부 관계자는 "미일 정상회담은 한미일 3국 협력 복원의 서막이 될 것"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의 서울 방문 전 신호탄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회담은 양국이 대북 억지와 인도·태평양 전략을 연결하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다카이치 정권은 출범 직후부터 "미국과의 방위 협력 강화를 통한 중국·북한 대응력 확충"을 외교 핵심 기조로 제시해왔다. 일본 내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다시 미일 안보협력의 구심점을 강조함으로써, 자유주의 진영의 결속을 상징하는 외교 무대로 만들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방일 기간 나루히토 천황을 예방하고, 다카이치 총리와 도쿄 총리관저에서 회담한 뒤 공동 기자회견을 가질 예정이다. 경호 강화를 위해 도쿄경시청은 1만8천 명의 경찰을 추가 배치하기로 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방일 직후 서울로 이동해 한미정상회담에 나설 예정이며, 북한 핵문제와 중국 견제를 포함한 동북아 안보 구도 재편을 본격적으로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도쿄 회담은 그에 앞서 한미일 3자 협력 복원의 사전 조율 무대가 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