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트럼프 행정부, 연방정부 소유 부동산 443곳 매각 돌연 철회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ssl1.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306010002207

글자크기

닫기

김도연 기자

승인 : 2025. 03. 06. 09:35

법무부 본부 등 매각 발표 하룻만에 목록 삭제
관련 부처와 사전 협의 없이 매각 대상 선정 논란
"졸속 추진으로 전반적인 혼선 보여주는 사례"
DOGE Federal Buildings
미국 연방수사국(FBI) 본부 청사./A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연방정부 소유 부동산 443곳을 매각 대상 목록에 넣었다가 하룻만에 돌연 취소해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목록에는 법무부와 연방수사국(FBI), 주택도시개발부(HUD)의 본부청사도 포함되어 있어 논란이 일었다.

앞서 지난 4일 오후 연방총무청(GSA)은 법무부와 HUD 본부 등 443개의 연방 소유 부동산이 매각 대상이 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GSA는 "세금 낭비를 줄이고 노후화된 연방 건물의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해, 고품질의 근무 환경을 조성하는 데 재투자할 것"고 밝혔다.

하지만 많은 연방 기관들은 자신들의 건물이 매각 목록에 포함된 사실을 알지 못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GSA의 한 직원에 따르면, 관련 부처와의 사전 협의 없이 매각 대상이 선정되었으며, GSA 고위 관계자 회의에서도 이와 관련한 논의가 이뤄졌다.

이후 목록에서 워싱턴 D.C. 내 연방정부 소유 주요 건물들이 제외됐고, 이날 새벽 목록 자체가 GSA 웹사이트에서 삭제됐다.

GSA는 "현재 목록을 재평가하고 있으며, 이해 관계자들이 자산의 세부 사항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수정 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발표했다. 하지만 목록 변경 및 삭제의 구체적인 이유나 443개 건물이 여전히 매각 대상인지 여부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익명을 요구한 GSA 직원은 "고위층의 지시에 따라 목록이 삭제됐다"고 밝혔으며, GSA 고위 관계자 회의에서 "매각 계획 자체는 유지되지만, 당분간 중단된다"는 입장이 전달됐다고 전했다.

WP는 "트럼프 행정부가 매각하려는 연방 건물이 어떤 것이며 몇 개인지에 대한 혼란이 계속되고 있다"며 이는 연방 정부를 대폭 축소하려는 행정부의 성급한 추진 과정에서 나타난 전반적인 혼선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꼬집었다.

한 에너지부 직원은 트럼프 대통령의 의회 연설을 보던 중, 자신의 휴대전화로 에너지부 본부가 매각 대상에 포함됐다는 뉴스를 접했다.

전직 GSA 고위 관계자는 "목록에 포함된 일부 건물들은 이해하기 어려운 선택이었다"고 밝혔다. 특히 워싱턴 D.C. 내 중앙 난방 시설이 매각 대상에 포함된 점을 지적하며 "해당 시설은 연방 건물의 난방을 담당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운영 비용이 들더라도 매각 대상이 되기에는 부적절하다"고 말했다.

GSA는 자체 본부 건물도 '비핵심(non-core) 자산'으로 분류했다. 한 직원은 "출근했지만 상사조차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모르고 있었다"고 털어놨다.

이번 연방 부동산 매각 계획은 정치권에서도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WP는 "공화당과 민주당은 오래전부터 노후한 연방 건물의 정리가 필요하다는 점에 동의해왔지만, 트럼프 행정부의 갑작스러운 발표와 철회는 불필요한 혼란을 초래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고 전했다.
김도연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