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 10% 기본관세서 40%p 인상, 50%로
"룰라 정권 중대한 부정 바로잡아야"
룰라 "주권국 브라질, 모든 지도 거부"
|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브라질 50%, 알제리·이라크·리비아·스리랑카 30%, 필리핀 20%, 브루나이·몰도바 25% 등 8개국 정상들에게 보낸 상호관세율 통보 보통서한을 공개했다.
◇ 트럼프, 브라질 상호관세율 40%포인트 인상, 50%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4월 2일 발표한 상호관세율과 비교하면 필리핀은 3%포인트(17%→20%), 브루나이는 1%포인트(24%→25%) 각각 올랐고, 스리랑카는 14%포인트(44%→30%), 이라크는 9%포인트(39→30%), 리비아는 1%포인트(31%→30%), 몰도바는 6% 포인트(31%→25%)씩 각각 하향 조정됐으며, 알제리는 변화가 없었다.
브라질은 10%의 기본관세에서 50%로 40%포인트나 인상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 이유를 서한에서 설명했다.
다른 정상에게 보낸 내용은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7일 한국·일본 등 14개국 정상에게 보낸 서한과 비슷했지만, 갈등 관계인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브라질 대통령에게 보낸 것에는 별도의 내용을 추가해 상호관세율을 급격하게 올린 배경을 설명한 것이다.
|
트럼프 대통령은 높은 상호관세 부과가 룰라 정권의 중대한 부정을 바로잡기 위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룰라 대통령은 이날 엑스(X·옛 트위터)에 포르투갈어와 영어로 올린 글을 통해 "브라질은 독립적인 기관들을 가진 주권 국가로 어떤 형태의 지도도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고 반박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재임 중 '브라질의 트럼프'로도 불렸던 자이르 보우소나루 전 대통령이 재판에 대해 "국제적인 불명예"라면서 "이 재판은 열려서는 안 된다. 마녀사냥은 즉시 끝나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브라질에서 자유로운 선거와 미국인들의 근본적인 표현 자유에 대한 브라질의 교활한 공격을 근거로 브라질산 상품에 50%의 관세를 8월 1일부터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표현의 자유 공격과 관련, "브라질 대법원이 최근 미국 SNS 플랫폼에 수백 건의 비밀스럽고, 불법적인 검열 명령을 내리고, 수백만 달러의 벌금과 브라질 SNS 시장 퇴출을 위협한 사례가 있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미국 기업들의 디지털 교역 활동에 대한 브라질의 계속된 공격과 다른 불공정 무역 관행" 등을 거론하면서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에게 무역법 제301조에 입각해 브라질에 대한 조사를 즉시 시작할 것을 명령한다고 밝혔다.
결국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집권 1기 때 좋은 관계였던 보수 성향의 보우소나루 전 대통령에게 힘을 실어주는 동시에, 그와 대척점에 서 있는 진보 성향 룰라 대통령을 궁지로 모는 정책을 공개적으로 발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
이에 대해 룰라 대통령은 "디지털 플랫폼과 관련해 브라질 사회는 혐오 콘텐츠·인종 차별·아동 포르노·사기·위조, 그리고 인권 및 민주적 자유에 반하는 발언을 거부한다"며 "브라질에서는 표현의 자유를 공격성이나 폭력적인 관행과 혼동해서는 안 되고, 국내·외 모든 기업은 브라질 내에서 활동하기 위해 브라질 법을 준수해야 한다"고 반박했다.
룰라 대통령은 미국이 브라질에 대해 무역수지 적자를 보고 있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주장이 부정확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미국 정부 자체 통계에 따르면 지난 15년 동안 브라질과 상품 및 서비스 무역에서 4100억달러의 흑자를 기록했다"며 "따라서 일방적인 관세 인상에 대해 브라질의 경제 상호주의 법에 따라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주권·존중·브라질 국민의 이익에 대한 확고한 수호는 세계와의 관계를 이끄는 가치"라고 강조했다.
◇ 브릭스 놓고 설전 트럼프 "'반미정책' 동조국에 10% 추가 관세"...룰라 "주권국가에 황제 불필요"
아울러 룰라 대통령이 지난 6~7일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진행된 제17차 브릭스 정상회의 기간에 트럼프 대통령은 비판한 것도 이번 관세율 인상에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7일 트루스소셜을 통해 "브릭스의 반(反)미 정책에 동조하는 모든 국가에는 예외 없이 10%의 추가 관세가 부과될 것"이라고 경고했고, 룰라 대통령은 "세상이 바뀌었다. 우리는 황제를 원하지 않는다. 우리는 주권 국가"라며 트럼프 대통령의 경고를 반박했다.
룰라 대통령은 6일 개막 연설에서도 "브릭스는 비동맹 운동의 후계자"라면서 "다자주의가 공격받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의 자율성이 다시 한번 견제받고 있다"며 트럼프 대통령을 겨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