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교류 없던 ‘벨라루스’와 밀착하는 北… ‘신냉전 외교전’ 격화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ssl1.asiatoday.co.kr/kn/view.php?key=20240725010016014

글자크기

닫기

천현빈 기자

승인 : 2024. 07. 25. 11:41

최선희 외무상, 벨라루스 외교장관과 회담
통일부 "화장품 등 제재 외 분야 관련 논의"
벨라루스, 과거 '北노동자' 받아들인 전례
북한-러시아-벨라루스 '삼각협력' 강화 우려
평양서 북-벨라루스 외교장관 회담
북한 최선희 외무상과 막심 리젠코프 벨라루스 외교장관 사이 회담이 지난 24일 평양 만수대의사당에서 진행됐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5일 보도했다. /연합
최근 러시아와 밀착하고 있는 북한이 그간 교류가 거의 없었던 벨라루스와 공식 외교를 펼치며 한반도 주변 정세에서의 운신의 폭을 넓히려는 움직임이 보인다. 최선희 북한 외무상은 벨라루스 외교장관과 회담하고, 실무진들이 각급에서 활발히 소통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5일 밝혔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이와 관련해 "벨라루스 통신에 따르면 북한의 대외경제상과의 회담 당시 교육·보건 등 제재 외 분야에서 논의했다고 보도했다"며 "식품, 화장품 교역, 상호전시, 박람회 참여방안 등을 논의했다고 한다"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이와 관련해 북한과의 모든 교류 협력은 안보리 결의와 국제규범을 준수하는 가운데 북한의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최근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만나 군사동맹에 준하는 수준으로 양자 관계를 재정립한 것과 관려해 북한이 벨라루스에도 이를 보고한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이 벨라루스와 과거 교류 등 협력 관계가 아니었지만 이례적으로 우호관계에 있지 않는 국가에 이 같은 수준의 내용을 공유한다는 것에 적지 않은 함의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통상 우호관계에 있는 국가끼리는 외교 성과나 과정에 대해 공유하지만 처음 교류하는 국가와 이런 내용까지 논의했다는 것은 북한과 벨라루스가 급속도로 가까워지고 있다는 신호라는 게 외교가의 분석이다. 북한 사정에 밝은 대북소식통은 이에 대해 "북한이 러시아와 가까운 벨라루스와 급속히 가까워지는 건 유엔 안보리 감시를 피해 여러 분야에서 경제적 이득을 취하기 위한 것으로 본다"며 "표면적으로는 비군사적인 분야에서 교류를 늘렸다고 하지만 무기 운용에 필요한 석유나 광물자원 교류로 이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북한이 이처럼 벨라루스와 밀착하는 모양새는 최근 한국이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 정상회의에서 서방 국가들과 결속하고, 한·미·일 안보협력이 강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나온 다급한 외교 행보라는 평가가 나온다. 유엔 안보리 결의로 대북제재가 국제사회에서 촘촘하게 형성된 상황에서 북한이 선택할 수 있는 나라가 거의 없다는 점도 북한에겐 부담요소다. 그나마 친러 성향이 짙은 벨라루스와 밀착하며 고립된 상황을 타개하고자 하는 움직임조차도 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데다 비군사적 부분에서의 협력 강화는 북한이 원하는 알맹이도 아니다.

그럼에도 북한은 벨라루스와의 교류에 큰 의의를 두고 있는 듯한 뉘앙스다. 조중통은 양측이 전통적인 친선협조관계를 강화 발전시켜나가기 위한 문제를 논의했다면서 상호 관심사인 국제정세들에 대해서도 심도 있는 의견을 교환했다고 전했다. 이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관해서도 북한이 벨라루스와 긴밀히 협력할 수 있다는 신호로 읽힌다.

벨라루스가 과거 대북 제재 결의를 위반하고 북한 노동자를 받아들인 적도 있는 만큼 북한 노동자가 벨라루스로 파견돼 김정은 정권의 자금줄로 활용될 우려도 제기된다. 대표적 친러 국가인 벨라루스는 지난해 알렉산드르 루카센코 대통령이 북한, 러시아와의 삼각협력 의지를 표명한 바 있다. 이날 협의도 이런 연장선상에서 이뤄졌다. 북한과 벨라루스는 앞으로도 교류 속도를 높일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23일 방북한 리젠코프 벨라루스 외교부 장관은 오는 26일까지 북한에 머문다. 지난달 27일 벨라루스 외교수장이 된 리젠코프 장관은 임명된지 약 한 달여만에 방북길에 올랐다.
천현빈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

댓글 작성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