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미 목소리 확산…청년 실업률 46%, 물 부족 문제도 심각
|
미국의 오랜 동맹국인 요르단은 이미 수백만 명의 팔레스타인 난민을 수용하고 있는 상황에서 난민의 추가 유입은 국가 안정을 심각하게 위협할 수 있다며 이를 강하게 반대하고 있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트럼프는 최근 가자지구가 15개월간의 전쟁으로 인해 더 이상 거주하기 힘들다며 이집트와 요르단이 팔레스타인인을 추가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가자지구를 '중동의 리비에라'로 만들 것이라고 공언했다.
하지만 압둘라 2세 요르단 국왕은 난민 유입을 절대적으로 막겠다는 입장이다.
요르단은 매년 약 15억 달러(약 2조1800억원)를 지원 받는 등 미국의 군사·경제 원조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요르단이 가자지구 난민을 수용하도록 압박하기 위해 이 지원금을 지렛대로 활용할 수 있다고 WP는 전했다.
이에 대해 중동연구소의 디마 투칸 연구원은 "만약 미국이 요르단에 대한 원조를 중단한다면 경제 등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압둘라 국왕이 미국의 요구를 수용할 경우, 반정부 여론이 더욱 거세질 수 있다. 최근 요르단에서는 미국 대신 중국, 러시아, 걸프 국가들과의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1994년 이스라엘과 평화조약을 체결한 요르단은 서방 및 수니파 아랍국들과 함께 이란의 영향력을 견제하는 역할을 해왔다. 하지만 가자지구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최근 요르단 내에서는 반이스라엘·반미 정서가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지난 8일(현지시간) 수도 암만에서 열린 시위에서 시민들은 "트럼프와 네타냐후(이스라엘 총리)는 정의의 심판을 받아야 한다"고 외쳤다.
요르단에는 유엔에 공식 등록된 팔레스타인 난민만 200만 명이 넘는다. 실질적인 팔레스타인계 주민 수는 전체 인구의 50%를 넘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요르단은 역사적으로 팔레스타인 난민에게 시민권을 부여하고 사회에 통합시켜왔지만, 난민 증가가 왕정 체제에 위협이 될 것이라는 우려까지 나온다.
요르단 경제가 코로나19 팬데믹과 지역 분쟁의 여파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난민의 추가 유입은 더욱 심각한 부담이 될 수 있다. 지난해 요르단의 청년 실업률은 46%에 달했으며, 물 부족 문제도 심각한 상황이라고 WP는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