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서울시, ‘스마트 건설기술’ 도입…2030년까지 단계적 확대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ssl1.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313010006305

글자크기

닫기

이수일 기자

승인 : 2025. 03. 13. 09:40

1
서울시가 공개한 서울형 건설정보모델링(BIM) 등 스마트 건설기술 예시.
서울시는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건설공사 모든 단계의 정보를 입체적인 3차원 모델에 반영해 나타내는 '스마트 건설기술'을 도입한다고 13일 밝혔다. 51~70세 중고령 건설기술인이 2004년 이후 20년간 9배 급증한 반면, 30세 이하 기술인은 20년간 절반 이상 감소하면서 생산성이 크게 하락하고 있어서다.

설계 기준을 시행하거나 신규 공공시설 공사를 발주할 때 이른바 '서울형 건설정보모델링(BIM)' 등 스마트 건설기술을 적용할 계획이다. BIM은 계획·설계·조달·시공·유지관리 등 건설공사 전단계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3차원 모델에 반영해 각 단계별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기술이다. 건설과정의 생산성과 품질을 극대화할 수 있다.

현재 일부 스마트 건설기술이 건설산업 전반에서 적용 중이나 시범사업 수준에 불과해 혁신기술의 상용화를 위해 시가 직접 나서 적극적인 초기 지원을 펼치고 이를 통해 빠르게 확산하겠다는 의지다. 2030년까지 서울시 발주 모든 공사에 스마트 건설기술을 적용하는 것이 목표다.

우선 시가 신규 발주하는 대형공사인 턴키 등 기술형 입찰공사·민간투자사업에 대해 설계단계부터 BIM을 적용하는 방안을 이달부터 즉시 시행한다. 기술형 입찰공사·민간투자사업외 일반공사는 민간기업의 준비상황 등을 고려해 총공사비 300억원 이상은 2027년부터, 총공사비 100억원 이상은 2029년부터 적용을 검토한다.

시는 이를 지원하기 위해 기획단계부터 BIM 등 스마트 건설기술 적용가능한 분야를 발굴한다. 해당 기술에 대한 적정단가를 산정, 이를 총사업비에 반영해 업계부담을 줄이고 품질을 높이기로 했다.

앞으로 시가 발주하는 스마트 건설기술 적용 의무대상 건설공사에 대한 감리도 BIM 데이터를 비롯한 다양한 스마트 건설기술을 활용하도록 하고 이를 위한 적정대가를 반영한다. 이를 위해 올 상반기 중 '서울시 건설엔지니어링사업자 사업수행능력 평가기준'을 개정해 향후 감리용역 입찰 시 해당 내용을 반영해 업체를 선정키로 했다.

디지털 정보관리를 위한 시스템도 구축한다. 시는 이날 한국건설기술연구원과 데이터의 효율적 관리·활용을 위한 'BIM 기반 협업플랫폼(CDE) COBIM 실증사업'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한다. CDE는 BIM 정보를 함께 사용(협업)할 수 있는 디지털 공간이다.

올해 별도 용역을 통해 'BIM 성과품 관리시스템'을 구축해 BIM을 적용한 건설공사에 대한 디지털 자료를 축적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해 건설 전 과정에서 BIM 데이터가 활용되도록 할 예정이다. 지속 발전 가능한 스마트 건설기술의 확산과 관리체계 마련을 위해 서울연구원과도 협업해 관련 규제철폐와 제도개선 등 종합적 개선방안과 관리체계도 마련한다.

김승원 서울시 건설기술정책관은 "서울형 스마트 건설 전환과 활성화로 인구 고령화에 따른 기술인력 부족, 낮은 생산성 등 건설산업 위기 극복과 함께, 안전과 최상의 품질이 담보된 도시 인프라를 제공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수일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