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마켓 고덕점 상반기 개장 예정
점포 리뉴얼 활용 매출증대 가속화
주문즉시 배송 '퀵커머스'도 확장
|
한채양 이마트 대표는 26일 서울 명동 포스트타워에서 열린 정기 주주총회에서 인사말을 통해 "2027년 연결 기준 영업이익 1조원을 달성하겠다"며 "상권의 규모, 입지, 수익성 등 핵심 요건을 검토해 트레이더스, 푸드마켓 등 다양한 포맷으로 영업 기반이자 성장 동력인 점포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이마트는 작년부터 신규 출점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해 3년 만에 12월 식품에 특화한 푸드마켓 수성점(대구)이 문을 열었고, 지난달에는 트레이더스 마곡점이 영업을 개시했다. 올해 푸드마켓 고덕점(올해 상반기)과 트레이더스 구월점(하반기) 개장도 예정돼 있다. 내년에도 세 곳 이상의 신규 점포가 문을 연다. 신규 부지도 다섯 곳 이상 확보해 출점을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앞서 이마트는 트레이더스를 포함한 매장 수가 2020년 160개로 정점을 찍은 후 줄곧 감소해 지난해 말 기준 154개까지 줄었다.
적극적인 기존 점포 리뉴얼을 통해 매출 증대에도 나선다. 한 대표는 "자산 효율성이 낮은 점포를 신규 사업모델인 몰타입과 푸드마켓으로 리뉴얼해 집객 강화를 통해 매출을 증대하겠다"고 설명했다.
대형마트(이마트)와 창고형 할인점(트레이더스), 온라인 쇼핑몰(G마켓·SSG닷컴) 등 업태별로 분리해 매입하는 방식에서 통합 매입 체계를 도입해 가격 경쟁력도 확보한다. 한 대표는 "통합 매입 체계로 전환해 단일 매입 규모가 1.7배로 확대되는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겠다"며 "개선된 원가 절감분을 가격경쟁력 확보에 재투자해 매출이 확대되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겠다"고 강조했다.
주문 즉시 배송이 이뤄지는 퀵커머스도 서비스를 확대한다. 한 대표는 "고객 편의성을 높이고 신규 고객을 확보하고자 기존의 점포 자산을 활용해 퀵커머스와 같은 배송서비스를 단계적으로 확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마트는 지난해 11월 왕십리점과 구로점이 배달앱 배달의민족에 입점해 퀵커머스 시범 서비스를 시작했다. 현재는 동탄점까지 3개 점포가 서비스를 운영 중이다.
작년에 이은 비용 효율화 작업도 지속한다. 한 대표는 "조직을 통폐합하고 빅데이터, AI 등의 신기술을 적극 도입해 생산성을 증대 시키는 비용 효율화를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약 1시간 동안 진행된 주총에서는 소액주주 제안으로 상정된 기업가치제고계획(밸류업)의 계획 공개 안건과 최택원 이마트 영업본부장의 사내이사 선임, 사외이사·감사위원 선임, 이사 보수한도 결정 등의 안건이 논의됐다. 기업가치제고계획 공개 안건은 부결됐으며, 이를 제외한 모든 안건이 통과됐다.